자원의 미래를 연구하다
미활용 탄소자원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차세대 탄소자원화 연구단Home 연구단소개 조직도 및 구성원
조직도 및 구성원
-
자문위원회(산·학·연)
-
세부연구단 1부생가스/탄소폐자원
활용 기술 개발 -
세부연구단 2재생에너지 활용
CO₂ 전환 융합기술 -
세부연구단 3유기성폐자원
CO₂ 전환 융합기술
-
연구단
성명 | 담당업무 | 전화번호 | 이메일 (@krict.re.kr) |
---|---|---|---|
전기원 | 연구단 총괄 (연구단장) |
042-860-7671 | kwjun |
탄소자원화 전략플랫폼
구분 | 과제명 | 주관기관 | 연구책임자 |
---|---|---|---|
단위1 | 탄소자원화 전략 플랫폼 구축 | 한국화학연구원 | 최지나 |
위탁1 | 전과정평가 기반 탄소자원화 기술 최적 시나리오 개발 | 주식회사 엔스타알앤씨 | 이광원 |
위탁2 | 탄소자원화 LCI 데이터베이스 구축 | 건국대학교 | 허탁 |
R&D사무국
성명 | 담당업무 | 전화번호 | 이메일 |
---|---|---|---|
이영주 |
- 연구단 운영 전략수립 - 평가(자체, 연차, 선정) 및 현장실사 - 협약변경 - 대내외 협력(對정부 및 전문기관 대응) |
042-610-8890 | lyj836@krict.re.kr |
김보경 |
- 연구단 홍보 및 성과확산 - 과제 및 성과관리 전반 - 연구단 자문위원회 관리 - 대내외 협력(對정부 및 전문기관 대응) |
042-610-8556 | bgkim15@krict.re.kr |
부생가스/탄소폐자원활용 기술 개발
부생가스 분리 원천소재/공정개발
구분 | 과제명 | 주관기관 | 연구책임자 |
---|---|---|---|
총괄1 | 일산화탄소 및 메탄의 회수를 위한 분리막/흡착제 원천소재 및 분리공정 개발 |
한국화학연구원 | 김정훈 |
세부1 | CO 및 CH₄회수용 분리막 원천소재 및 분리공정 개발 | 한국화학연구원 | 김정훈 |
세부2 | CO 촉진수송 고체 전해질 분리막 소재 개발 | 연세대학교 | 김종학 |
세부3 | 고효율 N₂/CH₄분리를 위한 차세대 분리막 분자체 기능 구현 |
서강대학교 | 이종석 |
세부4 | 유무기 복합 다공체 기반 고효율 CH₄/N₂분리용 흡착제 및 흡착분리 공정 개발 | 연세대학교 | 배윤상 |
부생가스/탄소폐자원활용 기술 개발
부생가스-CO₂ 동시전환
구분 | 과제명 | 주관기관 | 연구책임자 |
---|---|---|---|
총괄2 | 부생가스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전환연계 고부가 화학원료 제조기술 개발 |
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| 남성찬 |
세부1 | 부생가스와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고부가 화학원료 생산용 Syn-gas제조기술개발 |
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| 남성찬 |
위탁 | CO₂ 전환용 멀티스케일 기공구조의 저밀도 철계 유동층 촉매 개발 |
충남대학교 | 이규복 |
위탁 | 제철소 부생가스 고품위화 공정개발: 반응메커니즘, 반응기설계, 공정최적화 |
충북대학교 | 문종호 |
세부2 | 이산화탄소/코크오븐가스로부터 고농도 일산화탄소 생산을 위한 탄소침적 및 소결 저항성이 우수한 건식 개질 촉매 개발 | 연세대학교(원주캠) | 노현석 |
세부3 | 이산화탄소가 풍부한 합성가스로부터 선형 장쇄 올레핀 제조용 촉매공정 개발 |
한국화학연구원 | 김용태 |
세부4 | 이산화탄소를 탈수소제로 활용한 저급올레핀(C₂=/C₃=)화 촉매기술개발 |
인하대학교 | 조창범 |
재생에너지활용 CO₂ 전환 융합기술
광촉매-바이오융합 인공광합성 기술
구분 | 과제명 | 주관기관 | 연구책임자 |
---|---|---|---|
총괄3 | 광 직접 활용 광촉매-바이오촉매 CO₂전환 시스템용 광촉매 소재 개발 |
한국화학연구원 | 백진욱 |
세부1 | 광촉매-바이오촉매융합CO₂선택적 전환기술 개발 | 한국화학연구원 | 백진욱 |
위탁 | 고환원 광전자공급을 위한 산화물 복합광촉매 개발 | 포항공과대학교 | 최원용 |
세부2 | 광촉매-바이오촉매가 융합된 CO₂전환 포름산(HCOOH) 제조용 bio-mimic 고선택성 촉매 개발 |
고려대학교 | 손호진 |
세부3 | 이산화탄소 전환용 광-바이오촉매시스템: 전자전달물질 및 NADH 대체물질 개발 |
이화여자대학교 | 김진흥 |
재생에너지활용 CO₂ 전환 융합기술
CO₂ 전환 산화-환원 융합공정개발
구분 | 과제명 | 주관기관 | 연구책임자 |
---|---|---|---|
총괄4 | 신재생에너지 기반 CO₂전환 산화-환원 융합 공정 기술 개발 | 서강대학교 | 신운섭 |
세부1 | CO₂의 옥살산염 및 옥살산으로의 전환 기술 및 공정 개발 | 서강대학교 | 신운섭 |
위탁 |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전환 옥살산 생성 촉매반응기작 연구 | 울산과학기술원 | 권영국 |
세부2 | 전기화학전지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전환 에틸렌 제조 기술 개발 | 한국과학기술연구원 | 오형석 |
세부3 | 신재생에너지 기반 전기화학적 CO₂ 전환공정 및 스케일 업 기술개발 | 주식회사 테크윈 | 현순택 |
재생에너지활용 CO₂ 전환 융합기술
CO₂ 수소화 촉매/공정 개발
구분 | 과제명 | 주관기관 | 연구책임자 |
---|---|---|---|
총괄5 | CO₂직접 수소화 촉매 및 공정개발 | 한국화학연구원 | 전기원 |
세부1 | CO₂직접 수소화를 통한 액체 탄화수소 연료 제조 촉매 및 공정 개발 |
한국화학연구원 | 전기원 |
위탁 | 공정 모사를 통한 P2L 공정 최적화 | 南京工業大學 | ZHANG CHUNDONG |
세부2 | 중온-저온 2단계 CO₂수소화 메탄올합성 촉매반응공정 개발 | 한국과학기술연구원 | 김홍곤 |
세부3 |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CO₂직접자원화 공정 개발 및 평가 |
성균관대학교 | 김지용 |
세부4 | CO₂로부터 직접 방향족 화합물 제조를 위한 촉매 및 공정 개발 |
성균관대학교 | 김재훈 |
유기성폐자원 CO₂ 전환 융합기술
바이오알콜-CO₂ 동시전환 원천촉매 개발
구분 | 과제명 | 주관기관 | 연구책임자 |
---|---|---|---|
총괄6 | 바이오알코올 기반 이산화탄소 동시전환 불균일 촉매기술 개발 | 한국화학연구원 | 황영규 |
세부1 | 글리세롤 활용 이산화탄소 동시전환 불균일 촉매기술 개발 | 한국화학연구원 | 황영규 |
세부2 | 계산화학기법 활용 이산화탄소-바이오알코올 동시전환 촉매 탐색 | 울산대학교 | 정재훈 |
유기성폐자원 CO₂ 전환 융합기술
당류-CO₂전환폴리머플랫폼 제조
구분 | 과제명 | 주관기관 | 연구책임자 |
---|---|---|---|
총괄7 | 당류 유기성 폐자원 활용 CO₂전환 폴리머 플랫폼 제조 원천 촉매 개발 |
성균관대학교 | 손성욱 |
세부1 | 유기성 폐자원 활용 및 CO₂전환 기능성 고분자 소재 개발 | 성균관대학교 | 손성욱 |
세부2 | 고효율, 고선택성 균일 유기금속촉매 기반 유기성폐자원 및 CO₂전환 폴리머 플랫폼 제조 |
경희대학교 | 강은주 |
세부3 | 유기성 폐자원 활용 퓨란계 폴리머 플랫폼 제조 촉매공정 개발 |
한양대학교 | 서영웅 |
유기성폐자원 CO₂ 전환 융합기술
유기성 폐기물 원료 청정액체연료 생산기술
구분 | 과제명 | 주관기관 | 연구책임자 |
---|---|---|---|
총괄8 | 유기성 폐자원 원료 기반 청정액체연료 생산을 위한 원천 요소기술 개발 |
한국과학기술원 | 강석태 |
세부1 | 유기성 폐자원 유래 바이오가스의 고품질화 요소기술 개발 | 한국과학기술원 | 강석태 |
세부2 | 유기성 폐자원 유래가스 초청정 전처리 요소기술 개발 |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| 백일현 |
세부3 | 유기성 폐자원 유래 바이오가스로부터 액체연료 (C5-C20) 선택적 제조 3D구조 모듈형 촉매 및 공정 개발 | 한국화학연구원 | 곽근재 |